Lovely Rain

(2월 13일) 모든 상품을 담아라 그리고 마틴게일 투자 시작 본문

재테크/초보 투자 생존기

(2월 13일) 모든 상품을 담아라 그리고 마틴게일 투자 시작

LR 2025. 2. 13. 12:21
반응형

 

현재 자산 배분

 

항목 S&P
500
KOSPI
200
CSI
300
인도네시아 한국
예금
한국
CD
한국
회사채
(중기)
한국
장기채
미국
단기채
미국
하이일드
(중기)
비중(%) 10.7 0 2.8 1.4 0 18.2 30.9 3.0 10.4 11.8 10.8

 

지난 며칠 동안 중국 주식이 상당한 반등(3%)을 주어서 익절했다. 모든 주식을 팔진 않고 절반 가량만 팔아서 수익 내었다. 한국 주식은 좋은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어서 매수 구간이 나오지 않고 있다. 트럼프의 기행을 기다리는 중. 인도네시아는 무서운 속도로 전 저점까지 달리고 있는 중이라 웃음용으로 아주 약간 구입해보았다. 일본 닛케이225는 현재 PER 20정도로 고평가되어있는데 하락 구간이 나오면 조금 들어가보고 싶다.

금은 급락 후 급등하자 모든 금을 팔았다. 현재 한국 금은 너무 고평가되어있어서 언제든지 급락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한국 시장 프리미엄이 사라지면 소량 매수할 것이다.

인플레이션 우려로 미국 금리가 쉽게 내려가지 않고 있다. 채권이 상당히 저평가되고 있어서 전체 자산은 채권 쪽으로 쏠리고 있다. 미국 30년물과 아시아채권도 좀 더 하락하면 매수하고 싶다.

 

 

 

마틴게일 전략 시작

 

작년 코스피는 하락장이었음에도 3% 상승시 익절, 3% 하락시 매수라는 규칙으로 시뮬레이션해보니 약 10%의 수익을 낼 수 있었고 17번 정도의 매매가 필요했다. 5%로 시뮬레이션하면 매매 수는 극적으로 줄어들지만 수익률은 낮아졌다.

상당한 시사점이 있었는데 하락 시 매수하는 것이므로 해당 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을 때 매수해야한다는 점과 저점에 가까워질수록 더 많은 현금으로 물타기를 해서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면 더 좋은 수익을 낼 수 있었다는 점이었다. 자금 회전율을 높이고 더 많은 기회를 찾기 위해 상품 수를 늘릴 필요가 있을 것 같다.

3% 매매 구간이 나왔을 때 어느 정도 비율로 익절, 매수해야할지 유동성(현금)은 얼마나 확보해야할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좀 더 연구해봐야할 것 같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