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vely Rain

(초보 투자 월말 결산) #2 폭풍 속의 고요 (2025년 3월) 본문

재테크/초보 투자 생존기

(초보 투자 월말 결산) #2 폭풍 속의 고요 (2025년 3월)

LR 2025. 4. 1. 00:20
반응형

▲ 3월말 포트폴리오

 

1. 주식

야금야금 적립식으로 비중을 키워가고 있다. 지난 달에 비해 주식 비중은 2.2%P 증가했다. 주식을 포함해 모든 자산은 종목별로 한 달 주기로 한 번만 매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지나치게 빠른 매수는 충분한 시장 변동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생각이다.

미국 주식에 대한 희망이 사라져가고 있다. 주식에서 여전히 절반 가까이가 미국 지수형 ETF인데 수익률은 좋지 않은 상황이다. 마틴 게일 전략으로 평단을 낮춰가려는 전략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혹자가 이야기하는 미국 주식의 10년 하락장을 예상한다면 더 오래 버틸 수 있는 좀 더 여유로운 마틴 게일 전략을 생각해봐야할 것 같다. 어쨌든 미국 주식에 대한 적립식 투자는 멈추지 않을 것이다. 어차피 환율을 고려한 세계 각국의 지난 주가 추이를 살펴보면 미국장 이외에 대체할만한 시장은 그다지 잘 보이지 않는다.

지난 한 달 간 변동은 꽤 있었지만 중국 주식은 그래도 비교적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미국 주식에 비해 비율은 적겠지만 꾸준히 매수해갈 생각이다.

인도 주가는 상당히 좋았고 인도네시아는 완전히 나락으로 갔다가 바닥에서 조금 반등했다. 인도네시아에 추가 투자를 해야할지 굉장히 망설여진다. 2%가 아니라 1%로 비중을 더 줄이는게 맞지 않을까 고민이다. 차라리 고민 없이 EEM을 매수하는게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주식 파트에서 유럽 주식을 새로 편입했다. 유럽 지수형 ETF이고 고점에서 매수한 탓인지 현재는 꽤 하락한 상태(-3%)이다.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미국 주식과의 상관도가 높고 PER도 상대적으로 높아서 많이 투자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국 시장은 3월 한 달 꽤 괜찮았지만 마지막 주에 전세계 시장을 뒤흔든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다시금 큰 폭으로 하락했다. 3월 말 현재 코스피 PBR은 0.87 수준으로 꽤 괜찮은 가격이 되었고 관세가 예고된 4월 2일 전후로 코스피 ETF와 몇몇 종목을 분할 매수할 생각이다. 한국 주식은 최대 5%까지 매수해가고 싶다. 일본과 같이 거버넌스가 개선되어 간다면 향후 10년이면 꽤 높은 지점까지 올라가 있을 지도 모른다.

 

 

2. 채권

채권은 추가적으로 매수하지 않았다. 장기적으로 보면 수익률이 너무 떨어진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월급에서 추가로 들어온 현금성 자산에 의해 자연스럽게 비중이 줄어들었다. (-4.9%P) 그러나 앞으로 전체 자산에 대한 20~25% 정도의 비율은 계속 유지하고 싶다. 한 달 전과 비슷하게 위기 상황에서 상당히 인상적인 역할을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차후에 채권 매수 여력이 된다면 국내 회사채 ETF와 TLT를 좀 더 구입하려고 한다.

 

 

3. 대체투자

금을 다시 매수했다. 3월 초까지만 해도 여전히 김치 프리미엄이 있었기 때문에 미국장에서 IAUM을 매수했다. 비중이 5% 밖에 되지 않지만 전체 자산의 안정성에서 채권 그 이상의 역할을 해주고 있다. 앞으로도 매월 정기 매수해서 비중을 10~15%까지 높여가려고 한다. 현재는 김치 프리미엄이 1% 미만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한국 시장에서의 현물 매매도 괜찮아 보인다.

해외 부동산 ETF도 추가 매수했지만 미국 주식과의 상관도가 상당히 있는 편이고 현재 주가 흐름과 특별히 차별화된 점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비중을 높이는 것은 자제하려고 한다.

비트코인은 지난 2월말 위기에서 소량 구입한 가격에 비해 여전히 높은 가격(+4%)을 유지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언젠가 완전히 가치가 0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체 자산에서 2% 이상 매수할 생각은 아직 없다. 그래도 계속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으며 폭락이 온다면 또 매수할 생각이다.

 

 

4. 폭풍 속 고요

 

지난 2개월 투자 수익률: +0.87%

 

월급에서 꾸준히 현금성 자산이 들어오고 월말에 트럼프의 관세 습격을 받았음에도 수익률이 완전히 꺾이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부족하지만 조금은 안심이 되는 수준이다. 충분한 자산이 쌓이기 전까지는 수익률 개선이 힘들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지만 돈을 잃지 않는 것이 요즘 같은 시기엔 무엇보다 중요한게 아닐까라는 생각도 해본다.

 

 

반응형
Comments